정답은 없지만 참고하면 좋은, 제조 분석의 모델링
- 이번 글에서는 제조 분석에서의 분석 목적별 모델링 및 평가지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 “이게 무조건 답이다!”라고 단정 짓는 것이 아닌, “일반적으로 이런 것들을 쓰더라~” 정도로 가볍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데이터와 모델만 있으면 분석은 끝난 것이라고 절대 생각하지 않지만, 누군가에게 설명할 때는 이것만큼 편한 것이 없더라구요!😂
- 제가 잘못된 지식을 전파하여 그릇된 정보를 받아들이시게 될까봐, 여러 레퍼런스를 참고하여 작성해 보았습니다. 가볍게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혹시 ‘DX’라는 용어를 들어보신적 있나요?👀
오래전부터 기업의 변화와 혁신을 이끌어나가기 위하여 언급되고 있는 ‘DX‘는 ‘Digital Transformation‘의 약어인데요. 영어권에서는 Transformation을 X로 줄여부르기 때문에, ‘DT’보다는 ‘DX’라는 약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DX는 ‘디지털 전환’으로, 다양한 변화에 디지털 기반으로 기업의 전략, 조직, 프로세스, 시스템 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경영전략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DX는 기업의 생존과 경쟁력을 위한 필수 과정이며, DX 역량 강화 및 변화 관리를 통해 Digital 기반의 성과 창출 뿐만 아니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과 성장을 이뤄낼 수 있을 것입니다.
DX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구성원의 역량과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이런 니즈로 인하여, 많은 회사들에서는 DX를 위한 실무 역량 확보를 위해 현업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역량 육성 체계 및 서비스를 구축/운영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도 이런 DX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데요!
현업 구성원들 대상으로 공정 특성과 분석 목적별로 어떤 분석을 하고 있는지 소개하는 시간이 필요하여, 해당 내용을 간략히 정리해보았습니다.
🔑 제조 분석 목적별 모델링 및 평가지표
- 목적
- 공정 특성별, 분석 단계별, 목적별 방법론 List 정의
- 검증된 모델을 활용함으로써 과제 수행 기간 단축 및 효용 증가
- 카테고리
- 공정 특성 : 연속 공정 / 배치 공정
- 분석 단계 : 데이터 전처리 / 분석 모델링
- 분석 목적 : 주요인자 도출 / 최적 공정조건 도출 / 품질 예측 등
🚫 주의: 글을 읽기 전, 드리고 싶은 몇마디
이번 포스팅은 제조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에서 *(1)분석 목적을 정의하여 **그에 따른 (2)모델링 및 평가지표를 소개하는 내용입니다.
무엇이든 정답이란 없기에, 글을 읽기 전 드리고 싶은 제 생각들을 적어보았습니다.
💬 절대 답이 아니다!
이 글은 제조 분석 방법론에 관한 주제를 다루지만, 다소 주관적으로 작성하였기 때문에 “이것이 무조건 답이다”는 아닌 점을 꼭! 참고 해주시길 바랍니다.
제조 분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작성하였으며, 분석 모델과 평가 지표는 일반적인 지침이기에 고유한 분석 환경과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정보를 적용하시길 바랍니다.
만약 틀린 내용이 기입되어 있거나, “어라? 이런 것도 있지 않았나?”와 같은 도움되는 말씀 있으시다면 언제든 얘기해주세요!😊
피드백 주신 내용 바탕으로, 더 많이 배우고 더 많이 노력하여 포스팅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 방법론보다 중요한 것은?
데이터 분석을 하는 이유는 데이터로 무언가 가치를 만들어내는, 즉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하기 위함입니다.
이때 좋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방법론을 많이 안다고 하여, 무조건적으로 분석을 잘하게 되는 것이 아닙니다.
저는 분석 교육을 진행할 때 매번 ‘분석 방법을 활용하기 위한 사고방식이 필요하다‘를 강조하는데요!
데이터 분석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매뉴얼이나 교과서에 쓰여 있는 대로 흉내 낸다고 하여 답이 뚝딱 나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답이 쉽게 나오지 않기에, 데이터 분석가에 있어서 문제를 정의하여 가설을 구축한 과제 해결 과정 속에서 (1)결과물을 도출하여 (2)목적과 문제에 따른 해석을 추가해 (3)상대방을 설득하는 기술이 중요시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방법론은 수단이므로, 목적으로 대하면 안됨을 명심해야 합니다.
📖 다양한 레퍼런스 참고
실무 바탕으로 작성된 부분도 일부 있으나, 대부분 다양한 테크 블로그, 컨퍼런스, 논문 등에서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참고한 내용에 대한 레퍼런스 부분은 포스팅 맨 하단에 기입하였으며,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레퍼런스 URL을 통해 보시면 됩니다👍
0️⃣ 가설 수립
분석을 하기 전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은 문제 정의입니다.
문제 정의는 현재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이고 이를 지표화하여, 분석 과제 목표를 구체화한 뒤 분석 대상 Scope 및 X,Y인자를 정의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 다양한 가설 설정을 한다면, 각 가설별로 분석을 진행하여 원하는 분석 결과를 도출하기 손쉬워집니다.
- 데이터를 통한 현상 재확인 및 분석 Target 설정
- 데이터 현상 분석, 배경 지식 및 공정 이론을 통한 원인에 대한 가설 및 상세 시나리오 수립
- 데이터 분석을 통한 각 가설별 검증 진행
특히 제조 데이터 분석의 주된 목적은 공정 최적 제어를 통한 생산성 향상 및 비용 감소이기 때문에,
현재 현업에서 겪고 있는 문제가 무엇이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과정이 필요한지를 잘 고민하여 가설 수립이 필요합니다.
1️⃣ 데이터 전처리
⬛ 1.1 변수 선택
현업 지식, 공정 운전 조건 및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모델링에 사용할 제약조건과 주요 변수를 선택합니다.
- 전체 데이터를 다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실활용을 고려한 제약조건별 모델링 구현이 효과적일 때가 많음
- 원료 변경, 공정물질 조성 변경 등의 공정 조건 변화에 따른 모델 유지보수 및 고도화 필요
⬛ 1.2 이상치 처리
이상치는 정상적인 값의 범위에서 크게 벗어난 값입니다.
도메인에 따라 이상치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도메인 및 데이터에 따라 이상치 처리 기준을 정해야합니다. 또한 일부 도메인에서는 이상치를 더 중요시 여기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 1.5*IQR 기준:
Q1-1.5*IQR
와Q3+1.5*IQR
기준으로 이상치 처리
- 평균에서 표준편차만큼 떨어진 정도:
평균-3*표준편차
와평균+3*표준편차
기준으로 이상치 처리 (6sigma)
- PCA:
- 데이터 분포를 최대한 보존하면서 고차원 공간의 데이터를 저차원 공간으로 변환하는 방법
- 이상치는 주성분 기여도가 작아 PCA 변환 후 일반적인 데이터와 구분됨
- DBSCAN 클러스터링:
- 밀도 기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 클러스터링 : 서로 유사한 속성을 갖는 데이터를 같은 군집으로 묶어주는 작업
- 분할적 클러스터링 中 중심 기반 : 같은 클러스터링의 데이터는 특정 중심을 기준으로 분포 (ex. K-MEANS Clustering)
- 분할적 클러스터링 中 밀도 기반 : 같은 클러스터링의 데이터는 서로 근접하게 분포 (ex. DBSCAN)
- 특정 포인트가 클러스터의 많은 포인트에 가까이 위치하면 클러스터에 속한다고 판단함
- 밀도 기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 LOF(Local Outlier Factor):
- 데이터 안에서 밀도 기반의 각 군집들을 생성하여 해당 군집에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확인 (이상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
- Abnormal Score를 만들어 이상치를 탐지함 → 값이 크면 클수록, 이상치 정도가 큼
⬛ 1.3 파생변수 생성
파생변수는 기존의 변수를 조합하여 새로운 변수를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도메인 전문가의 아이디어가 중요하며, 주의 깊게 생각하는 부분의 가정(가설)을 설정하여 파생변수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 직전 Lag값:
- 바로 전 시점(직전)의 값을 현재 시점으로 옮겨서 변수화
- 이동 평균값:
- 특정 크기의 부분 집합 데이터을 연속적으로 이동하며 산출한 평균값으로 변수화
- 연속된 데이터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흔들림을 제거하거나 장기적인 방향을 보고 싶을 때 사용
- 이동 분산값:
- 특정 크기의 부분 집합 데이터을 연속적으로 이동하며 산출한 분산값으로 변수화
- 단기 변동을 제거하고 큰 편차를 강조하기 때문에, 연속된 데이터의 편차를 자세히 보고 싶을 때 사용
- 공정 반응단계별 소요시간 세분화:
- 공정 반응단계별 소요시간의 변수화
- 제품이 생산되기까지 n개의 단계로 나뉘어지게 되는데, 각 단계별 소요시간이 얼만큼 되는지 보고 싶을 때 사용
- ex) 생산 라인의 가동시간, 정지시간, 교체시간 등의 변수를 생성
- 클러스터링:
- 주어진 데이터 집합을 유사한 데이터들의 그룹으로 나누어 변수화
- 로그, 제곱근 변환:
- 정규화 및 왜도 감소 목적으로 로그, 제곱근 변환하여 변수화
- 변수 변화량 :
- 일정 기간 각 변수의 차이를 변수화
-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변수를 조합(ex. 곱셉, 나눗셈, 덧셈, 뺄샘 등의 연산)하여 새로운 변수를 생성
- ex) 좌우 또는 상하 온도 센서 차이값, 팬 속도와 차압, 가스 센서 이동평균
- 생산 단계 품질 검사 결과:
- 각 생산 단계별 품질 검사 결과(ex. 정상/불량)를 변수화
- ex)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의 원인에 대한 변수를 조합하여 생성
⬛ 1.4 외부 데이터 활용
내부 데이터라고 할 수 있는 설비 및 품질 데이터로 분석을 진행함과 더불어, 추가 데이터로 외부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에 활용하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 기상청 기상자료 데이터:
- 기상청에 제공하는 기상청 관측소별 날씨 데이터(온도, 습도, 강수량 등)
- ex) 과거 기상 관측 데이터 가져오기
- 경제 지표:
- GDP,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수출입물가지수, 환율, 원자재 가격 등
- 공급망 데이터:
- 원자재의 유통, 납품, 재고 등과 관련된 데이터
- 원자재의 유통, 납품, 재고 등과 관련된 데이터
2️⃣ 분석 모델링
⬛ 제조 데이터
아마 제조 분석을 하고 계신 분이 아니라면, 각 분석 케이스별 필요 데이터 리스트를 보고 이해가 안 되실 것 같더라구요😂
그리하여 간단하게 한줄 코멘트로만 데이터 설명을 적어보았습니다! 아래의 내용 읽으시기 전 참고로만 슉슉- 읽어주세요.
- 생산실적 데이터 : 생산 품종 및 생산 시간 데이터
- TAG 리스트 : 공정 설비 tag 리스트
- 품질 데이터 : 품질, 물성 데이터
- 작업 History 데이터 : TA(Turn Around) 및 정비 기간 데이터
- 원료 데이터 : 제품 생산을 위해 투입한 원료 데이터
- 리드타임 데이터 : 공정 리드타임(체류시간) 데이터
⬛ 2.1 주요 인자 도출(원인 분석)
데이터 분석 기반 제조 품질 경쟁력 강화
- 분석 설명
- 생산 제품의 이상 원인을 원료, 공정, 품질 관점에서 분석하여 설비 주요 인자를 도출
- 분석 목적
- 공정마다 발생하는 불량 문제의 경우 다양한 변수에 의해 발생하게 되며, 품질 상황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공정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제조 전문 분석이 필요
- 분석 목표
- 높은 수율과 품질을 유지하고 불량률을 줄이기 위한, 생산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중요공정 및 설비 파악 및 관리
@i-매거진, 설비 상태/품질 결함 예측 분석 적용 예 |
- 품질 원인 분석 (ex. x 제품 y 물성 품질개선 , 동일 공정간 품질 편차 분석 등)으로 볼 수 있음
- 품질 원인 분석 생산 제품의 이상 원인을 원료 , 공정 , 품질 관점에서 분석을 하는 것
- 특정 공정에서 가동되고 있는 센서(sensor) 값을 이용하여 물성 또는 불량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파악
- 해당 인자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물성 유지와 양품 제품 생산을 위한 관리 방안을 현업에게 제시 하는 작업까지 진행됨
- 품질 원인 분석을 진행할 경우 제일 주의 해야할 점은 현업들의 경험적으로 알고 있는 부분들과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들이 상충될 수 있다는 것임
-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분석가는 해당 공정의 도메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분석을 진행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어야 함
- 현업 파트는 분석가에게 공정 이슈 및 분석 결과에 대해 즉각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어야 함 (커뮤니케이션 역량 必)
✅ 데이터 / 모델링 / 평가지표
- 데이터
- 생산 실적 데이터
- 설비 데이터(센서)
- 작업 History 데이터
- 공정조건 데이터
- 물성, 품질 데이터
- 외부 데이터
- 모델링
- 상관분석
- 주로 결정 트리 기반의 앙상블 모델을 사용 (interpretability가 중요하기 때문)
- Decision Tree, Random Forest, XGBoost, LightGBM
- 핵심인자 간 최적 조합을 구하기 위해서는, PCA를 사용
- 주성분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부여하고, 그 결과 값이 높은 순서대로 핵심인자 추출
- 평가지표
- 기초통계량 → 데이터 분포 비교
- 상관계수
- 변수 중요도
⬛ 2.2 최적 조건 도출
공정 최적화를 통한 제품 생산성, 안정화 기여
- 분석 설명
- 과거의 best practice 기반으로 앞으로의 양품 생산을 위한 생산 품종, 라인별 최적 공정 조건 도출 및 적용
- best practice : 현업이 생각할 때 최고로 생각되는 물성 조건에 맞는 양품 생산 시기
- 분석 목적
- 연속 공정에서 선행 공정의 물성이나 조작에 따라 후행 운전 조건이 다양하게 변경되며, 제어 인자와 조작 수치가 미표준화 되어 작업자별 숙련도에 따라 발생하는 품질 편차를 줄이는 것이 필요
- 분석 목표
- 과거 Best Practice 기반 양질의 제품 생산을 위한 생산 품종, Line별 Golden Recipe 도출 및 적용
control chart |
- [데이터 수집 → 표준 최적 공정 관리조건 도출 → 현장 적용 → 모니터링] 단계로 진행
- 최적 조건을 찾아서 이를 실제 현장의 공정 운영 조건에 설정하여 운영 최적화까지 적용하는 것을 목표함
- 대부분의 공장에서는 제품을 생산하면서 공정조건 변경은 현업의 경험과 감에 의존하고 있는 경우가 큼
- 해당 분석을 통해 데이터 기반의 생산 공정의 기술축적 및 기술 표준화로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위한 초석을 마련할 수 있음
- 그래서 실제로 공장별로 분석 과제를 진행할 때 최적 공정 조건 도출 분석이 기본적으로 진행되기도 함
✅ 데이터 / 모델링 / 평가지표
- 데이터
- 생산 실적 데이터
- 설비 데이터(센서)
- 작업 History 데이터
- 물성, 품질 데이터
- 모델링
- 통계적 방법론 (6sigma)
- Decision Tree의 Rule Set 사용
- 평가지표
- 기초통계량 → 데이터 분포 비교
- 상관계수
- 변수 중요도
⬛ 2.3 품질, 물성 예측
비용 감소 및 생산시간 단축을 위한 제품 물성 예측
- 분석 설명
- 품질 불량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를 분석하여, 현장 적용 가능한 예측 모델링 개발
- 분석 목적
- 제품에 있어서 핵심적인 경쟁력인 품질에 대한 측정은 공정 완료 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실시간으로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현 운용 중인 설비에서 다양한 공정 조건을 통해 제품 품질이나 설비 고장을 예측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
- 분석 목표
- 축적된 공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품 품질을 사전에 예측하여, 공정 이상을 즉각 대응하며 설비 유지보수, 재생산 등의 제반 비용을 절감
@SK TECH SUMMIT 2023, 과제 수행 사례 “임가공 동절기 사출 Color out 원인 분석” |
- 품질 측정은 공정 완료 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서 , 공정 중 제품의 품질 수준을 실시간으로 평가하기 어려움
- 공정 중 품질 측정의 경우 비용 문제로 샘플링 측정을 하고 있으며 , 제품의 최종 품질과의 연관성이 높지 않을 때도 있음
- 고객의 요구 특성 (Y 값)에 대한 예측 성능이 곧 시장에서의 고객 만족 및 품질 비용으로 직결될 수 있는 사안임
- 최종 품질과 직결되는 중간 물성을 예측하여 중간 공정에서 작업자의 판단을 도와주는 역할을 함 (공정별로 차이 존재)
- 높은 수준의 품질 예측으로 제조 품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음
- 공정 중 제품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사전에 예측 및 조 치 하여 , 제조 공정의 선제적 품질관리 및 불량 조기 탐지 가능
- 실시간 데이터 기반 품질 예측 및 피드백을 통한 공정 및 품질 상황 변화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
✅ 데이터 / 모델링 / 평가지표
- 데이터
- 생산 실적 데이터
- 설비 데이터(센서)
- 작업 History 데이터
- 공정조건 데이터
- 물성, 품질 데이터
- 모델링
- Multiple Linear Regression
- 주로 결정 트리 기반의 앙상블 모델을 사용 (interpretability가 중요하기 때문)
- Decision Tree, Random Forest, XGBoost, LightGBM
- Bayesian Optimazation
- 1D-CNN
- DNN(Deep Neural Network)
- MLP(Multiple Layer Perceptron)
- LSTM(Long Short Term Memory)
- SVM(Support Vector Machine)
- 평가지표
- MAE, NMAE, RMSE
- R-Squared
- Maximum error
- Accuracy (오차율 계산)
- Detection Ratio
⬛ 2.4 설비 장애 예지(이상감지)
비용 감소 및 생산시간 단축을 위한 제품 물성 예측
- 분석 설명
- 생산 설비나 공정의 안정성을 수치화하여 이상을 미리 예측하여,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진행
- 분석 목적
- 공정 및 설비 이상 위치를 즉시 파악하여, 이상 공정을 인지하고 빠르게 조치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
- 분석 목표
- 공정 설비 데이터를 분석하여, 설비 고장 원인 분석과 설비 고장 조기 예측
@Yeh , Chin Chia Michael, et al. “Online Amnestic Dynamic Time Warping to Allow Real Time Golden Batch Monitoring.” |
- 설비 장애 예지 분석은 생산 설비나 공정의 안정성을 수치화하여 고장 원인 분석과 이상을 조기 예측
- ex) 실시간 y 품질 예측 / z 설비 이상 모니터링을 위한 분석 모델
- 부품 고장 예측 및 시스템 다운타임 최소화를 위해 수십억 개의 데이터 행 처리 및 숨겨진 패턴 발견
- 효율적인 설비 유지보수를 위해 , 예측이 필요한 센서 뿐만 아니라 주변에 설치된 센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설비 이상 발생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한 모니터링 구축을 목표로 함
- 공장의 기존 장비로는 설비 이상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 이상 원인을 파악하기에 한계가 있음
- 이때 모니터링 구축 시 예측 결과를 시스템에 적용하여 현재 설비가 정상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담당자에게 알람을 발송하는 등 현업이 필요로 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
✅ 데이터 / 모델링 / 평가지표
- 데이터
- 설비 데이터(센서)
- 작업 History 데이터 (ex. 장비 성능 다운타임)
- 모델링
-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 Isolation Forest
- Autoencoder + LSTM
- Time Series Clustering : Dynamic Time Wrapping(DTW)
- 일반적인 유클리드 거리 측정법은 시계열에 적합하지 않음 (특히, Batch 공정)
- 만약 두 시계열이 높은 상관 관계가 있지만, 하나가 한 시간 단계만큼 이동하는 경우 유클리드 거리는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잘못 측정하기 때문
- 그렇기 때문에 time sequence를 고려한 모델링을 하는 것이 필요
- 일반적인 유클리드 거리 측정법은 시계열에 적합하지 않음 (특히, Batch 공정)
- 평가지표
- Binary evaluation metrics
- Non-binary evaluation metrics
- AUC-ROC
- AUC-ROC
3️⃣ 분석 수행 사례
실사례 부분은 시간될 때마다 조금씩 업데이트하겠습니다🐱👤
⬛ 주요 인자 도출(원인 분석)
- Feed stock, rBHET 품질과 CR-PET 물성의 상관 관계 도출
- ECOZEN 고내열 Grade Color 개선
⬛ 최적 조건 도출
- LNG/LPG 연료 사용량 변화인자 발굴을 통한 운전 최적화
- TEG#3 Feed 조성에 따른 최적 운전조건 도출
⬛ 품질, 물성 예측
- 임가공 동절기 사출 Color out 원인 분석 및 Color 예측 모델링
- 목표 : 임가공 사출 분석 회수 감소 및 추가 Action을 통한 원하는 품질로 조정
- CP-4 PETG 공정 조건에 따른 품질 예측 모델링
- 목표 : 주간 공정 품질을 예측하여, 현재 생산량과 Grade 기준 품질 오차 범위 내로 운전가이드 제시하는 모델 생성
- 목표 : 주간 공정 품질을 예측하여, 현재 생산량과 Grade 기준 품질 오차 범위 내로 운전가이드 제시하는 모델 생성
- 머신 러닝과 데이터 전처리를 활용한 증류탑 온도 예측
- 목표 : 혼합부탄 증류탑의 데이터 기반 온도 예측 모델 개발 및 최적화
- 친환경 섬유 소재 개발을 위한 최적 물성 예측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설비 장애 예지(이상감지)
- LBAD 이상감지 AI 알고리즘 개발 및 양산적용
- 목표 : 용접 비파괴 검사 시스템에 대한 비지도 학습 기반 시계열 이상감지 알고리즘 개발
Reference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에 대한 모든 것
- 데이터 분석을 잘하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의 결정적 차이
- [데이터전처리] Outlier(이상치/이상값/특이값/특이치 등) 탐지 방법(detection method)
- 고려대학교 강필성 교수님 수업자료 - Anomaly Detection
- Isolation Forest 로 이상치 찾기 (+ SHAP로 설명하기)
- [Paper Review] Navigating the Metric Maze: A Taxonomy of Evaluation Metrics for Anomaly Detection in Time Series
- [Must Have] 데싸노트의 실전에서 통하는 머신러닝
- [BASIC] 대회에서 자주 사용되는 평가산식들에 대한 정리✏️ (1) 회귀모델 평가산식
- SK TECH SUMMIT 2023
- DSBA 연구실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