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글 Emergency - 911 Calls : Exploratory Data Analysis


  • Kaggle의 Emergency - 911 Calls 데이터를 이용한 탐색적 데이터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 EDA)을 진행하였습니다.
  • 해당 포스팅에서 사용한 전체 코드와 그래프는 해당 Kernel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plotly와 github 간의 연동에 실패해서(ㅠㅠ..), plotly만의 interactive 그래프를 클릭하면서 보고 싶으시면 위의 커널로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1. Introduction

emergency

Kaggle에 있는 Montgomery County의 911 통화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EDA(Exploratory Data Analysis) 과정을 진행하였습니다.

구조대원들은 그들이 일하는 동안 항상 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구조합니다. 한 번의 작은 실수가 죽음을 초래할 수 있기에, 그들의 작업은 오랜 시간 동안 엄청난 집중력을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앞으로 어떤 종류의 사고가 일어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일정 수의 구조대원이 항상 필요합니다. 향후 일반적인 사고 발생 건수를 예측할 수 있다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구조 인력을 배치하는 것이 더 쉬울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는 또한 구조대원들의 적절한 휴식 시간으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911.csv 데이터의 출처는 http://montcoalert.org/이며, 이 홈페이지는 Montgomery County의 911 통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Montgomery County는 펜실베니아 연방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는 2015년 12월 10일부터 2020년 4월 8일까지 수집되어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해당 글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 지도를 통해 사고 분포에 대한 간략한 설명
    • Montgomery County에서의 911 통화
      • 911 통화 유형의 백분율
      • 시간의 경과에 따른 911 통화 수 추이
      • 911 통화 유형 간의 상관 관계
      • 월, 일, 시간별 911 통화 트렌드
      • 히트맵에 따른 결과
    • 거주지(township)에 따른 Montgomery County에서의 911 통화
      • 911 통화 유형별 모자이크 플롯
      • 911 통화의 하위 유형별 모자이크 플롯
      • 각 거주지에 대한 히트맵에 따른 결과
    • 향후 사고 발생 횟수 예측


1.2 Loading packages and Attributes of data

ggplot2, dplyr와 같은 R의 대표적인 Package를 포함하여 EDA를 하는데 사용한 모든 Package들을 불러오도록 하겠습니다. Package 옆에 간단한 주석을 달았습니다.

# Load packages
library(dplyr) # Data manipulation
library(tidyr) # Data manipulation
library(xts) # Creating xts's object
library(lubridate) #Helps dealing with dates a little easier
library(qtlcharts) # Making plot of correlation table
library(forecast) # Time series Forecast
library(tseries) # Time series analysis
library(leaflet) # Visualization
library(ggplot2) # Visualization
library(plotly) # Visualization
library(dygraphs) # Visualization
library(viridis) # Colormap
library(graphics) # Mosaic plot

필요한 모든 Package를 불러왔으며, 데이터 속성을 확인해보겠습니다.

# Check data
call <- read.csv("../input/montcoalert/911.csv")
knitr::kable(head(call,n=3))
str(call) # 626350 obs. of  9 variables

캐글_속성

캐글_str

변수명과 클래스 유형은 위와 같으며, 총 626,350개의 관측치와 9개의 변수가 있습니다. 변수에 대한 간단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변수명설명
lat위도(Latitude)
lng경도(Longitude)
desc응급 통화에 대한 설명(EMS: 응급의료 서비스, Fire: 화재, Traffic: 교통사고)
zip우편번호(Zipcode)
title통화 제모
timeStampYYYY-MM-DD HH:MM:SS
twp군구(Township, county 아래의 행정 구역 단위)
addr주소
e더미변수(always 1)


1.3 Handling Data

기존 변수에서 새로운 몇 개의 변수를 만들기 위해 필요하지 않은 변수 제거 등의 전처리 작업을 거쳤습니다.

calls <- separate(call,title,c("Types","Subtypes"),sep=":")
# Separate Title into Types and Subtypes.

calls$timeStamp <- as.POSIXlt(call$timeStamp)
calls$Date <- as.Date(calls$timeStamp)
calls$Year<-factor(year(calls$Date))
calls$Month<-factor(month(calls$Date))
calls$Day<-factor(day(calls$Date))
calls$Hour <- factor(calls$timeStamp$hour)
calls$zip<-factor(calls$zip)
calls$Subtypes<-factor(calls$Subtypes)
calls$Types<-factor(calls$Types)
# Handling timestamp variable and change the classes of some variables into factor.

calls<-calls[,-10]
# Erase unnecessary dummy variable, e, as it is always 1.

knitr::kable(head(calls,n=3))

str(calls) # 123884 obs. of  14 variables

캐글_새속성

캐글_새str



2.Exploratory Data Analysis

2.1 Brief Explanation on “Accident Distribution”

call_map <- leaflet() %>% addTiles() %>% setView(lng=-75.2, lat=40.1, zoom=10) %>% addMarkers(data=calls, lng= ~lng, lat= ~lat, clusterOptions = markerClusterOptions())
call_map

캐글_지도

  •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데이터는 Montgomery County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911 통화의 대부분은 Norristown(185,052), 그 다음으로 Abington(92,658), Lansdale(88,947)입니다.


2.2 911 Calls in Montgomery County, Generally

🚑 Percentage of Types of 911 Calls

사고의 종류에 따라 그에 맞는 전문가가 필요합니다. 파이 차트를 통해 세 가지 유형의 통화 비율을 확인했습니다.

freqt.calls <-as.data.frame(table(calls$Type))
freqt.calls

plot_ly(freqt.calls,labels=~Var1,values=~Freq,type='pie',
        textposition='inside',
        textinfo='label+percent',
        insidetextfont=list(color='#FFFFFF',size=20),
        hoverinfo='text',
        marker=list(colors=c('rgb(0,204,102)','rgb(211,94,96)','rgb(51,153,255)'),
                    line=list(color='#FFFFFF',width=1)),
                    showlegend = FALSE)%>%
  layout(title="Frequency of Three Types of 911 calls",
         xaxis=list(showgrid=F,zeroline=F,showticklabels=F),
         yaxis=list(showgrid=F,zeroline=F,showticklabels=F))

캐글_빈도수

캐글_파이차트

  • EMS49.2%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Traffic(35.2%), Fire(15%)입니다.
  • EMS가 가장 많았으며, 아마도 사고 유형에 상관없이 사람들이 대부분의 사고에서 다치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 How the number of 911 Calls varies as the time goes by (for each types)

EMS 통화량이 특정 기간 내에도 다른 변수보다 많을지 궁금하여, 시계열 그래프를 사용하여 보았습니다.

fre.calls.ems <-as.data.frame(table(calls[calls$Types=="EMS",]$Date))
fre.calls.fire <-as.data.frame(table(calls[calls$Types=="Fire",]$Date))
fre.calls.traffic <-as.data.frame(table(calls[calls$Types=="Traffic",]$Date)) 
fre.calls.ems$Var1 <- as.Date(fre.calls.ems$Var1)
fre.calls.fire$Var1 <- as.Date(fre.calls.fire$Var1)
fre.calls.traffic$Var1 <- as.Date(fre.calls.traffic$Var1) 
# Convert between character representations and objects of class "Date"

ems.ts <- xts(fre.calls.ems$Freq, fre.calls.ems$Var1)
fire.ts <- xts(fre.calls.fire$Freq, fre.calls.fire$Var1)
traffic.ts <- xts(fre.calls.traffic$Freq, fre.calls.traffic$Var1) 
# Creating an extensible time-series object

names(ems.ts) <- "EMS"
names(fire.ts) <- "FIRE"
names(traffic.ts) <- "TRAFFIC" # Specify a column name 

ts.types <- cbind(ems.ts, fire.ts, traffic.ts)

dygraph(ts.types, main="Three Types of 911 calls") %>% 
dyRangeSelector() %>% # Choosing a range becomes available
dyOptions(colors=c('rgb(0,204,102)','rgb(211,94,96)','rgb(51,153,255)')) # Allocates each line's  colors

캐글_시계열그래프

  • 전반적으로 EMS 통화량이 다른 통화량보다 많습니다.
  • Traffic에 대한 통화 수가 EMS에 대한 통화 수를 초과한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 특히 2018년 3월 2일2018년 11월 15일의 Traffic 통화 수가 현저히 높았습니다.
  • 세 가지 유형의 911 통화 수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그래프는 주기적인 trend는 보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 Correlation among Types of 911 Calls

세 가지 유형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 행렬을 만들었습니다.
(해당 Kernel로 들어가시면, 사각형 상자에 마우스를 올려 놓으면 상관계수를 확인하실 수 있고 사각형 상자를 클릭하면 이에 따른 산점도 또한 볼 수 있습니다.)

month <- as.data.frame(calls %>% select(-timeStamp) %>% group_by(Month, Types) %>% summarise(N=n()) %>% spread(Types, N))

day <- as.data.frame(calls %>% select(-timeStamp) %>% group_by(Day, Types) %>% summarise(N=n()) %>% spread(Types, N))

hour <- as.data.frame(calls %>% select(-timeStamp) %>% group_by(Hour, Types) %>% summarise(N=n()) %>% spread(Types, N))


iplotCorr(month[,2:4], reorder=TRUE, chartOpts=list(cortitle="Month", scattitle="Scatterplot"))
iplotCorr(day[,2:4], reorder=TRUE, chartOpts=list(cortitle="Day", scattitle="Scatterplot"))
iplotCorr(hour[,2:4], reorder=TRUE, chartOpts=list(cortitle="Hour", scattitle="Scatterplot"))

캐글_상관관계_월 캐글_상관관계_주 캐글_상관관계_시간

  • 911 통화의 모든 유형은 월, 일, 시간에 관계없이 상당히 큰 상관 계수를 보였습니다.
  • 이를 통해 모든 유형의 사고들은 상호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 What happened in 2016-01-23?

그래프를 통해 2018년 3월 2일에 큰 Traffic 사고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일과 2일에 발생한 사고 건수를 시간대별로 비교해봤습니다.
2일에 중대한 Traffic 사고가 발생했다면, 특정 시간에 교통사고 911 통화 건수가 상당히 많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nr<-c()
nn<-c()
for (i in 0:23){
nr[i+1]<-nrow(calls[calls$Date=="2018-03-02" & calls$Types=="Traffic"&calls$Hour==i,])
nn[i+1]<-nrow(calls[calls$Date=="2018-03-01" & calls$Types=="Traffic"&calls$Hour==i,])
}
nrn<-0:23
dnr<-data.frame(time=nrn,value=nr)
dnn<-data.frame(time=nrn,value=nn)
dnr$name<-"2018-03-02"
dnn$name<-"2018-03-01"
dd<-rbind(dnr,dnn)

ggplot(dd, aes(time, value, fill = name)) + geom_bar(position = "dodge",stat="identity")+labs(title="What Happened in 2 Mar, 2018?",x="Hour",y="Traffic Freq")+theme_bw()+scale_fill_discrete(name="Date")

캐글_무슨일

  • 2일의 Trffic 911 통화량은 1일보다 현저히 많습니다.
  • 오후 3~6시에 중대한 Traffic 사고가 있었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 911 Call Trend by Month, Day, Hour

📞 Calls - Monthly

#month$Month<-c(1:10,12)
#month<-month[c(11,1:10),]

plot_ly(month, x = ~Month, y = ~EMS, type = 'bar', name = 'EMS') %>%
  add_trace(y = ~Traffic, name = 'Traffic') %>% add_trace(y = ~Fire, name = 'Fire') %>% 
  layout(title="911 Calls -Monthly", yaxis = list(title = 'Count'), barmode = 'stack' ,xaxis=list(type = "category",  categoryorder = "array",
  categoryarray = c(1:12)))

캐글_월통화

  • 12월과 1~3월이 다른 달에 비해 911 통화량이 높습니다.
  • 그에 반면, 4~11월의 911 통화량은 유사합니다.


📞 Calls - Daily

plot_ly(day, x = ~Day, y = ~EMS, type = 'bar', name = 'EMS') %>%
  add_trace(y = ~Traffic, name = 'Traffic') %>% add_trace(y = ~Fire, name = 'Fire') %>% 
  layout(title="911 Calls -Daily", yaxis = list(title = 'Count'), barmode = 'stack')

캐글_일통화

  • 911 통화 빈도는 2일과 15일이 제일 높으며, 27일부터 31일까지 낮습니다.
  • 31일 911 통화 빈도가 현저히 낮은 이유는, 31일로 구성되지 않은 달의 데이터가 적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 2일과 15일의 경우 2018년 3월 2일과 11월 15일에 Traffic 911 통화가 상당히 많이 걸려왔기 때문에, 2일과 15일의 911 통화 빈도가 매우 높습니다.
  • 이러한 요인을 고려할 때, 일별 통화 빈도의 트렌드는 보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 Calls - Hourly

plot_ly(hour, x = ~Hour, y = ~EMS, type = 'bar', name = 'EMS') %>%
  add_trace(y = ~Traffic, name = 'Traffic') %>% add_trace(y = ~Fire, name = 'Fire') %>% 
  layout(title="911 Calls - Hourly", yaxis = list(title = 'Count'), barmode = 'stack')

캐글_시간통화

  • 911 통화 빈도는 오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확실히 더 높습니다.
  • 사람들은 낮 시간에 주로 활동을 하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 사고가 더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또한 911 통화 빈도가 월, 일보다는 시간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alls - Weekly

date_calls<-unique(calls$Date)

thurs<-date_calls[seq(from=1,to=321,by=7)]
fris<-date_calls[seq(from=2,to=321,by=7)]
sats<-date_calls[seq(from=3,to=321,by=7)]
suns<-date_calls[seq(from=4,to=321,by=7)]
mons<-date_calls[seq(from=5,to=321,by=7)]
tues<-date_calls[seq(from=6,to=321,by=7)]
weds<-date_calls[seq(from=7,to=321,by=7)]

calls$Week[is.element(calls$Date,thurs)==TRUE]<-"Thursday"
calls$Week[is.element(calls$Date,fris)==TRUE]<-"Friday"
calls$Week[is.element(calls$Date,sats)==TRUE]<-"Saturday"
calls$Week[is.element(calls$Date,suns)==TRUE]<-"Sunday"
calls$Week[is.element(calls$Date,mons)==TRUE]<-"Monday"
calls$Week[is.element(calls$Date,tues)==TRUE]<-"Tuesday"
calls$Week[is.element(calls$Date,weds)==TRUE]<-"Wednesday"
calls$Week<-as.factor(calls$Week)
levels(calls$Week)<-c("Sunday","Monday","Tuesday","Wednesday","Thursday","Friday","Saturday")
str(calls$Week)

week <- as.data.frame(calls %>% select(-timeStamp) %>% group_by(Week, Types) %>% summarise(N=n()) %>% spread(Types, N))

plot_ly(week, x = ~Week, y = ~EMS, type = 'bar', name = 'EMS') %>%
  add_trace(y = ~Traffic, name = 'Traffic') %>% add_trace(y = ~Fire, name = 'Fire') %>% 
  layout(title="911 Calls -Weekly", yaxis = list(title = 'Count'), barmode = 'stack')

캐글_일주일통화

  • 주말이 평일보다 911 통화 빈도가 낮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오히려 수요일이 훨씬 낮아서 조금 놀랐습니다.
  • 그외에도 사고 유형별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평일 동안 총 911 통화 빈도와 유형 비율은 모두 비슷합니다.
  • 수요일에 Traffic 통화량이 다른 요일보다 낮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 Summarized Result, by Heat Map

히트맵은 데이터 값이 색으로 표현되게끔 3차원적으로 표현한 그래프입니다. 월별, 일별, 시간별로 911 통화의 히트맵을 보겠습니다. 사각형 색상이 노란색으로 가까워질수록 911 통화 수는 더 커집니다.

📞 911 Calls by “Day and Hour” & “Month and Hour”

day_hour <- as.data.frame(calls[, c("Day", "Hour")] %>% group_by(Day, Hour) %>% summarise(N = n()))

ggplotly(ggplot(day_hour, aes(Day, Hour, fill = N)) + geom_tile(color = "white", size = 0.1) + scale_fill_viridis(name="Number of Calls") + coord_equal() + labs(title="911 Calls by Day and Hour"))
month_hour <- as.data.frame(calls[, c("Month", "Hour")] %>% group_by(Month, Hour) %>% summarise(N = n()))
levels(month_hour$Month) <- c("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Dec")

ggplotly(ggplot(month_hour, aes(Month, Hour, fill = N)) + geom_tile(color = "white") + scale_fill_viridis(name="Number of Calls") + coord_equal() + labs(title="911 Calls by Month and Hour"))

캐글_히트맵_1

  • 위의 두 히트맵 그래프를 보면, 대부분의 노란색 사각형이 그래프 중간에 가로로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통화가 낮 시간에 이루어진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911 Calls by Day and Month

  • 2월, 4월, 6월, 9월은 31일로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빈칸이 있습니다.
day_hour <- as.data.frame(calls[, c("Day", "Month")] %>% group_by(Day, Month) %>% summarise(N = n()))
levels(day_hour$Month) <- c("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ggplotly(ggplot(day_hour, aes(Day,Month, fill = N)) + geom_tile(color = "white", size = 0.1) + scale_fill_viridis(name="Number of Calls") + coord_equal() + labs(title="911 Calls by Day and Hour"))

캐글_히트맵_2

  • 일별과 월별 히트맵 그래프에서는 패턴을 찾을 수 없습니다.
  • 일별과 월별보다는 주로 시간에 따라 911 통화가 이뤄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2.3 911 Calls in Montgomery County, by Townships

🚑 Mosaic Plot by Types of 911 Calls

town_type <- as.data.frame(calls %>% select(Types, twp))
freq.town <- as.data.frame(table(calls$twp)) %>% arrange(desc(Freq))
top<-as.character(freq.town[1:10,1])
top_town<-town_type[is.element(town_type$twp,top),]
topab<-c("LM", "ABING", "NORRIS", "UM", "CHEL", "POTT", "UML", "LP", "PLY", "HOR")
top_town$twp <- as.character(top_town$twp)
top_town$twp<-factor(top_town$twp,levels=top)
levels(top_town$twp)<-topab
table_1 <- with(top_town, table(twp,Types))
mosaicplot(table_1, main="Mosaic Plot by Types and Top 10 townships",color=c('light green','tomato','light blue'),cex.axis =1,off=3,border="white",xlab="Township",ylab="Type")

캐글_모자익

  • 약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 LM : LOWER MERION
    • ABING : ABINGTON
    • NORRIS : NORRISTOWN
    • UM : UPPER MERION
    • CHEL : CHELTENHAM
    • POTT : POTTSTOWN
    • UML : UPPER MORELAND
    • LP : LOWER PROVIDENCE
    • PLY : PLYMOUTH
    • HOR : HORSHAM
  • 위의 그래프는 상위 10개 군구(township)가 보유한 911 통화 유형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 일반적으로 EMS 통화 빈도가 가장 높고 Traffic 및 Fire가 뒤를 잇습니다.
  • 하지만 비율은 각 군구(township)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County 의회는 이것에 맞게 각 군구(township)에 비례하여 구조 대원들을 할당해야 합니다.


🚑 How does the Top 5 subtypes vary among top 10 township?

📞 Top 5 Subtypes

ems.subtype <- as.data.frame(table(calls[calls$Types=="EMS",]$Subtypes)) %>% arrange(desc(Freq))
ems.subtype$Var1<-paste(ems.subtype$Var1,"E",sep=" - ")

fire.subtype <- as.data.frame(table(calls[calls$Types=="Fire",]$Subtypes)) %>% arrange(desc(Freq))
fire.subtype$Var1<-paste(fire.subtype$Var1,"F",sep=" - ")

traffic.subtype <- as.data.frame(table(calls[calls$Types=="Traffic",]$Subtypes)) %>% arrange(desc(Freq))
traffic.subtype$Var1<-paste(traffic.subtype$Var1,"T")

freq.sub <- rbind(ems.subtype,fire.subtype,traffic.subtype)%>%arrange(desc(Freq))

freq.sub %>% head(5) %>% ggplot(aes(reorder(Var1,Freq), Freq)) + geom_bar(stat = "identity", aes(fill=Var1)) + coord_flip() + theme_bw() + ggtitle("911 Calls") + xlab("Top 5 Subtypes") + ylab("Frequency") + theme(legend.position = "none") + geom_text(aes(label=Freq, y= Freq + 2*sign(Freq),size=2)) 

캐글_탑5

  • 이들은 가장 큰 빈도를 가진 상위 5가지 하위 유형입니다.
  • 차량과 관련된 하위 유형이 1, 2위를 차지합니다.
  • EMS의 하위 유형은 Traffic의 하위 유형보다 훨씬 낮습니다.


📞 Mosaic plot by Subtypes of 911 Calls

ems.sub <- as.data.frame(calls[calls$Types=="EMS",] %>% select(Subtypes, twp))
ems.sub$Subtypes <- paste(ems.sub$Subtypes,"E",sep=" - ")
fire.sub <- as.data.frame(calls[calls$Types=="Fire",] %>% select(Subtypes, twp))
fire.sub$Subtypes <- paste(fire.sub$Subtypes,"F",sep=" - ")
traffic.sub <- as.data.frame(calls[calls$Types=="Traffic",] %>% select(Subtypes, twp))
traffic.sub$Subtypes <- paste(traffic.sub$Subtypes,"T")

mosaic.sub <- rbind(ems.sub, fire.sub, traffic.sub)
top <- as.character(freq.town[1:10,1]) # Top 10 township
topp <- as.character(freq.sub[1:5,1]) # Top 5 Subtypes
mosaic.sub <- mosaic.sub[is.element(mosaic.sub$twp,top),]
mosaic.sub <- mosaic.sub[is.element(mosaic.sub$Subtypes,topp),]
topabc <- c("VA-T","DV-T","FA-F","RE-E","CE-E")
topab <- c("LM", "ABING", "NORRIS", "UM", "CHEL", "POTT", "UML", "LP", "PLY", "HOR")
mosaic.sub$twp <- as.character(mosaic.sub$twp)
mosaic.sub$Subtypes <- as.character(mosaic.sub$Subtypes)
mosaic.sub$twp <- factor(mosaic.sub$twp,levels=top)
mosaic.sub$Subtypes <- factor(mosaic.sub$Subtypes,levels=topp)
levels(mosaic.sub$twp)<-topab
levels(mosaic.sub$Subtypes)<-topabc
table_2 <- with(mosaic.sub, table(twp,Subtypes))
mosaicplot(table_2, las=1,main="Mosaic Plot by Top 5 Subtypes and Top 10 townships", cex.axis =1,off=3,border="white",xlab="Township",ylab="Subtype",color=c('orange','sky blue','green','steelblue4','tomato1'))

캐글_모자익_세부

  • 약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 VA-T : VEHICLE ACCIDENT (Traffic)
    • DV-T : DISABLED VEHICLE (Traffic)
    • FA-F : FIRE ALARM (Fire)
    • RE-E : RESPIRATORY EMERGENCY (EMS)
    • CE-E : CARDIAC EMERGENCY (EMS)
  • 그래프를 볼 때 Traffic에 대한 911 통화 빈도가 가장 높습니다.
  • POTTSTOWN과 LOWER PROVIDENCE은 Trffic에 대한 911 통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 POTTSTOWN은 County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따라서 낮은 빈도의 교통사고가 일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 Summarized Result, by Heat Map for Each Townships

📞911 Calls by “Month and Hour” & “Day and Hour” (without transformation)

monthhour.sub <- as.data.frame(calls[, c("Month", "Hour","twp")] %>% group_by(Month, Hour,twp) %>% summarise(N = n()))
top<-as.character(freq.town[1:10,1])
monthhour.sub <- monthhour.sub[is.element(monthhour.sub$twp,top),]
levels(monthhour.sub$Month) <- c("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Dec")

ggplot(monthhour.sub, aes(Month, Hour, fill = N)) + geom_tile(color = "white", size = 0.1) + scale_fill_viridis(name="Number of Calls") + coord_equal() + labs(title="911 Calls by Month and Hour") + facet_wrap(~twp, ncol=5) + theme(legend.position="bottom") 
dayhour.sub <- as.data.frame(calls[, c("Day", "Hour","twp")] %>% group_by(Day, Hour,twp) %>% summarise(N = n()))
top<-as.character(freq.town[1:10,1])
dayhour.sub <- dayhour.sub[is.element(dayhour.sub$twp,top),]

ggplot(dayhour.sub, aes(Day, Hour, fill = N)) + geom_tile(color = "white", size = 0.1) + scale_fill_viridis(name="Number of Calls") + coord_equal() + labs(title="911 Calls by Day and Hour") + facet_wrap(~twp, ncol=5) + theme(legend.position="bottom")

캐글_히트맵_1_1 캐글_히트맵_1_2

  • Lower Merion에서는 총 911 통화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그에 반면 다른 군구(township)는 빈도가 낮기 때문에 전체적인 패턴을 알기 어렵습니다.


📞911 Calls by “Month and Hour” & “Day and Hour” (with square-rooted frequency)**

ggplot(monthhour.sub, aes(Month, Hour, fill = sqrt(N) )) + geom_tile(color = "white", size = 0.1) + scale_fill_viridis(name="Number of Calls") + coord_equal() + labs(title="911 Calls by Month and Hour") + facet_wrap(~twp, ncol=5) + theme(legend.position="bottom") 
ggplot(dayhour.sub, aes(Day, Hour, fill = sqrt(N))) + geom_tile(color = "white", size = 0.1) + scale_fill_viridis(name="Number of Calls") + coord_equal() + labs(title="911 Calls by Day and Hour") + facet_wrap(~twp, ncol=5) + theme(legend.position="bottom")

캐글_히트맵_2_1 캐글_히트맵_2_2

  • 군구(township) 간 911 통화 빈도의 차이를 더욱 비교하기 쉽게 각 도시의 빈도를 제곱하였습니다.
  • 그 전에 비해 명백한 패턴을 볼 수 있었으며, 군구(township)에 상관없이 모든 히트맵은 중앙에 노란색으로 더 진하게 표시되었습니다.
  • 각 군구(township)별 히트맵을 보면 911 통화 빈도는 대부분 시간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2.4 Forecasting the number of accidents in the future

이제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수를 예측해 보겠습니다. 여기에서는 시계열 분석이 사용되었습니다.

1) 먼저, 자기상관함수(autocorrelation function)와 편자기상관함수(partial autocorrelation function)를 계산하여, 데이터가 정상성(stationary)을 갖는지 여부를 간단하게 확인했습니다.

2) 둘째, niffs함수를 사용하여 차분(differences)이 필요한지 확인했습니다.

3) 셋째, 귀무가설에 대해 Dickey-Fuller 테스트를 수행했으며 데이터가 비정상성(non-stationary)을 갖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러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습니다.

4) 마지막으로, AIC, AICc, BIC 값으로 최고의 ARIMA 모델을 찾으려고 했습니다.

date <- as.data.frame(calls %>% select(-timeStamp) %>% group_by(Date, Types) %>% summarise(N=n()) %>% spread(Types, N))

ems_ts <- ts(date[,2],frequency=7)
fire_ts <- ts(date[,3],frequency=7) 
traffic_ts <- ts(date[,4],frequency=7)
# create time-series objects

acf(ems_ts) # lag.max: maximum lag at which to calculate the acf
pacf(ems_ts)
acf(fire_ts) 
pacf(fire_ts)
acf(traffic_ts) 
pacf(traffic_ts)
# Computes Autocorrelation function & Partial autocorrelation function

ndiffs(ems_ts)
ndiffs(fire_ts)
ndiffs(traffic_ts)
# Estimate the number of differences required to make a given time series stationary

adf.test(ems_ts)
adf.test(fire_ts)
adf.test(traffic_ts)
# Computes the Dickey-Fuller test for the null-hypothesis that the data are non-stationary

fitted_ems <- auto.arima(ems_ts)
fitted_fire <- auto.arima(fire_ts)
fitted_traffic <- auto.arima(traffic_ts)
# Finds best ARIMA model according to either AIC, AICc or BIC value
forecasted_ems <- forecast(fitted_ems,15)
forecasted_fire <- forecast(fitted_fire,15)
forecasted_traffic <- forecast(fitted_traffic,15)
# forecasting from time series

op <- par(mfrow = c(3,1),
          mar = c(2,4,1,2)+.1, pty='m')
plot(forecasted_ems, main="Forecast: Emergency Medical Service", xlab="Time",xaxt = "n")
axis(1, at=1:51, labels=seq(1,357,by=7))
plot(forecasted_fire, main="Forecast: Fire", xlab="Time",xaxt="n")
axis(1, at=1:51, labels=seq(1,357,by=7))
plot(forecasted_traffic, main="Forecast: Traffic", xlab="Time",xaxt="n")
axis(1, at=1:51, labels=seq(1,357,by=7))
par(op)
Date <- c("2020-04-09", "2020-04-10", "2020-04-11", "2020-04-12", "2020-04-13", "2020-04-14", "2020-04-15")
EMS <- round(as.data.frame(forecast(fitted_ems,7))[,1],2)
Fire <- round(as.data.frame(forecast(fitted_fire,7))[,1],2)
Traffic <- round(as.data.frame(forecast(fitted_traffic,7))[,1],2)
forecast_day <- data.frame(Date, EMS, Fire, Traffic)

knitr::kable(forecast_day)

캐글_시계열예측 캐글_시계열예측값

  • 7일(1주) 동안의 3가지 유형에 대한 911 통화의 예상 횟수입니다.
  • 솔직히 예측의 결과는 초기 목적에서 많이 빗나가고 있습니다. 예측된 결과를 사용하여 구조대원들을 적절히 배치하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이 예측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분석한 데이터는 매일 수집되는 시계열 데이터이며, 또한 이것은 사고에 대한 데이터입니다. 비록 비정상성(non-stationary) 조건을 만족했지만 패턴이 없었고 데이터에 설명할 수 없는 변동이 존재하였습니다.
  • 따라서 위에서 진행된 시계열 분석은 이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크게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 Anomaly Detection 등 다른 방법을 써서 예측을 한번 해보고 싶습니다. (희망사항..)



3. Conclusion

  • 이 데이터만을 사용하여 911 통화 빈도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였습니다.
    • 사고를 예측하기 위해 베이지안 분석 등 다른 분석 방법론을 이용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 베이지안 분석을 위해 각 사고 유형(유동 인구, 날씨 등)의 발생과 밀접하게 관련된 변수를 더 많이 수집해야 하며, 이 데이터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 이 데이터를 분석하는 동안, 구조대원들의 사회에 대한 헌신에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작업은 성수기와 비수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구조대원들에게는 매일이 바쁜 시즌이며, 일부는 야간 근무를 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 그들을 깊이 존경해야 한다고 말하고 싶으며, 수많은 나라에서 그들에게 높은 수준의 복지와 혜택을 제공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가득합니다.
    • 모든 유형의 사고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사고가 더 많이 발생함을 방지하기 위해, 우리 모두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 같습니다.



🔜 Next

2주부터 2주에 1번씩 하나의 캐글 주제를 정하여 캐글 노트북 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캐글 커널 필사 또는 분석)
해당 포스팅은 학부 때 있었던 탐색적 분석 수업 때 발표했던 내용이며, 최근 업데이트된 데이터에 맞게 추가적으로 분석을 더하여 작성해보았습니다. 조금 차려놨던(?) 밥상이라 그런지 나름 이것저것 그래프를 그리며 데이터를 보려고 하였는데, 이번 주차부터 새로운 주제로 시작해야 하는데 퀄리티가 확 떨어질까봐 걱정이 되네요.😂 시간이 없으면 필사라도 하려고 노력해야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kaggle 노트북 작성도 하고 작성한 내용을 바탕으로 블로그에도 거의 비슷하게 포스팅할 예정이니, 부디 꾸준히 포스팅할 수 있길 바랍니다. (목표는 일단 3개월로..!)

※ plotly의 경우 추가적으로 github에 setting을 더해야하는데 생각보다 쉽지 않네요..😢 Python보다는 R이 더 편해서 R로 진행하고 있었는데, 코딩 실력도 늘릴겸 Python으로 해볼까 고민중입니다.




© 2020.02. by ysjang0926

Powered by theorydb